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군대 복무 기간 톱 5

by 유민10000 2023. 5. 1.
반응형

 

 

우리나라는 의무적으로 군대를 가야 합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휴전 중이거나 주변 국가들과 마찰이 있는 경우 거의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단 복무 기간은 다 다르죠, 그럼 군대에서 가장 오래 근무해야 하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군 복구기간

첫번째는 역시 북한이 가장 오래 근무해야 합니다.  최대 120개월

북한은 거의 10년을 군 복무에 종사해야 합니다. 경제적 활동을 해야 할 젊은사람들이 군대에 들어가야 하니, 남자는 10년, 여자는 8년, 약 16세부터 군대에 들어가서 제대하기 전 3년간은 농촌에서 농사활동을 해야 한다고 하네요. 가장 꽃다운 나이에 군대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안타깝습니다.

 

두번째는 이집트입니다. 최대 36개월

이집트는 아프리카 안에서 가장 강한 군사력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아울러 군대 복무 기간도 대학생은 1년, 이외는 3년의 복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스라엘입니다. 최대 32개월

이스라엘은 항상 팔레스타인과 분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엄격한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고 남성은 32개월, 여성은 24개월 군대에서 복무해야 합니다. 여성의 경우는 정보 분석같은 사무직 등으로 근무를 많이 한다고 하네요.

 

이란 : 최대 21개월

북한이 이란에게 무기를 많이 수출한다고 하죠. 이란 역시 이스라엘, 이집트 등과 함께 군사 강대국이며 의무 복무기간 역시 21개월로 엄격한 징병제를 체택한 나라입니다. 

 

다음으로 한국입니다. 최대 21개월

북한과  38선으로 휴전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육군은 18개월, 해군 20개월, 공군 21개월로 약 18~21개월 군대에서 종사해야 합니다. 군 복무기간은1993년에는 26개월, 2003년 24개월, 그리고 현재는 18개월로 줄었습니다. 

 

이외에 에리트리아의 경우 원칙적인 복무기간은 18개월이지만 상황에 따라 무기한 연장되기도 한다고 하니 국가의 노예나 다름없네요

 

현재 중국이 대만에 대해서 군사적 압박을 심하게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대만을 작은 중국이라고 생각하고 합쳐야 한다고 생각하죠. 

대만은 이런 중국의 압박으로 계속 줄여왔던 군 복구기간을 2024년부터.4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한다고 합니다.  

반응형